생산기술2 사소한 경험으로 자소서 쓰기 2편 별거 아닌 경험이라 생각되는 것이라 할지라도 직무 역량으로 연결시켜 단순한 경험을 더 가치 있도록 만들어 경쟁력 있는 자소서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사소한 경험을 직무역량으로 연결하는 방법 = 내가 한 일(자세하게) + 그 당시 느꼈던 감정 + 배운 점(깨달음) + 어떻게 현장에 적용할 것인가 [자소서 예시- 1편과 동일] 3) 처음에는 몰랐지만 하면서 알게 되는 점들을 적어보자 나도 물론 처음에 단순히 엑셀 시트를 정리하는 업무가 너무 단순하고 반복적인 일이라 많이 지루한 감정을 느꼈다. 한쪽에는 3D 모델링 도면을 켜놓고 다른 화면 한쪽에는 모듈화 BOM 엑셀 시트를 켜놓고 비교하면서 분류하는 작업만 한동안 했었다. 그 당시에는 BOM에 있는 부품 명들이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지, 왜 Assy.. 2023. 9. 7. 생산기술/공정기술 취업을 위해 필요한 스펙들 중 우선순위는 무엇일까? 생산기술 취업 스펙 우선순위 생산기술 직무부트캠프를 참가하는 많은 멘티분들이 고민하는 대표적인 질문들 중 하나가 "멘토님, 저는 대기업 생산기술/공정기술/품질 직무쪽을 희망하고 있습니다만 취업하기위해 어떤 활동들을 해야할까요?" 이다. 멘토님! 질문 있습니다. 해야할게 너무 많은데 어떤 활동부터 해야할까요? 학점, 봉사활동, 코딩교육, 자격증공부, 장기실습, 어학... 이러한 질문을 하시는 멘티님들의 상황은 매우 제각각이다. 대학교 2학년 대학교 3학년 대학교 4학년 갓 졸업한 취업준비생 공백기 1~2년 있는 취업준비생 현직자 (관련직무 1~2년차) 그럼에도 내가 항상 말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1. 직무경험 (장기현장실습, 해외인턴쉽, 랩실 학부연구생) 2. 경진대회, 공모전 경험 (문제해결능력) 3... 2023. 6.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