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관련 질문 & 자소서 면접 팁

인적성평가 준비방법(속는셈 치고 따라해보는 꿀팁)

by 생산기술 멘토 2023. 10. 4.

서류 결과가 나온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다가온 인적성 시험을 단기간 내에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인적성 모의평가를 활용하여 인적성시험 준비하기

하반기 서류지원이 전반적으로 끝난 시점에서 서류발표가 하나둘씩 발표되면서 어느덧 인적성평가/AI 면접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 왔다.

옛날에 들었던 썰이지만 현대자동차그룹 HMAT의 경우, 임직원 성과 상위 30%와 하위 30% 기준으로 분류하여 직무별 성과가 높은 사람의 성향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인적성 합격·불합격을 정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적이 있다. 물론 그냥 소문에 불가하겠지만... 들었을 때는 나름 100%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현업에서 있으면서 직무마다 어울리는 성향이 있다고 생각들었다. 물론 개인 성향이 무조건 업무성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아무래도 성격상 하는 일이 맞으면 자연스럽게 성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래서 결국 하고자 하는 말은 기업에서도 인적성평가를 실시하는 목적 자체가 지원 직무에 적합한 성향인지 확인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가 인적성을 응시하기 이전에 미리 큰 틀에서 나의 성향이 직무와 적합한지 응답 결과가 신뢰도를 갖는지 혹시 왔다 갔다 답변하여 일관성없는 답변을 선택하지 않는지 한번 확인해 보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무료로 인적성 평가 테스트하기 (.feat 사람인 인적성)

인적성평가를 무료로 반복해서 테스트하며 어떠한 성향을 컨셉으로 잡았을 때 지원 직무의 직무적합도가 높은지, 응답 신뢰도는 어떤지, 백분위가 높게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사람인 인적성검사를 활용하는 것이다.

 

[사람인 인적성검사 링크]

https://m.saramin.co.kr/member/svq/intro

 

사람인 인적성 검사

[나는 과연 이 일과 잘 어울릴까?] | 사람인 인성검사로 직무적합도를 확인해보세요!

m.saramin.co.kr

 

사람인 인적성검사는 아래와 같이 60문항 수 20분으로 다소 간소화된 버전이긴 하다.

 

 

 

여러계정으로 반복해서 인적성검사 백분율 높이기

하지만 우리는 인적성검사를 반복해 보면서 어떻게 답변했을 때 더 좋을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그 취지에서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한 개의 계정으로 한 달에 한 번만 응시가능하기에 로그인 창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여러 SNS 계정을 활용하여 다양한 컨셉으로 테스트해 보며 백분위를 비교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응답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백분위

 

실제로 생산제조 직무 기준으로 응답 유형을 달리하였을 때 직무적합도가 보통에서 높음으로 달라지고 백분위 또한 70%대에서 96%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네이버,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등 활용할 수 있는 모든 계정을 활용하여 직무적합도/응답 신뢰도/백분위가 높게 나오는 답변들을 찾은 다음 그 방식으로 2~3번 더 반복해서 스스로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면 실제 인적성시험에서도 큰 무리 없이 응답 신뢰도와 직무적합도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나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

 

만약에 반복해서도 백분위를 높이 올라가지않는다면 주변 지인 또는 친구중 백분위가 높게 나오는 사람의 답변을 참고하는것도 한가지 방법이라 생각한다.